메뉴 건너뛰기

통합검색 입력 폼
잡코리아 주요 서비스
알바의 상식 albamon


게임뉴스 상세

'2023 LCK 스프링' 18일 개막 ... 달라진 점은?

작성자
관련사이트 더게임스
작성일
2023-01-05

LCK의 2023년 시즌이 오는 18일부터 시작된다. 두 달간 펼쳐지는 협곡에서의 치열한 승부가 벌써부터 팬들의 기대감을 높이고 있다.

5일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스 코리아(LCK)는 '2023 LCK 스프링 스플릿' 정규 리그가오는 18일 개막한다고 밝혔다. 지난해 8월 28일 '2022 LCK 서머 스플릿' 결승전이 젠지의 우승으로 마무리된 후 무려 5개월 만의 귀환이다.

LCK 스프링 정규 리그의 모든 경기는 서울종로구 롤파크에 위치한 LCK 아레나에서 열린다. 1월 18일부터 오는 3월 19일까지 2개월간 진행되며,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라운드 구분 없이 수요일부터 일요일까지 주 5일 및 하루 2경기씩 열린다. LCK는 지난해부터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에 출전할 리그 오브 레전드 국가 대표팀의 예선 일정을 지원하기 위해 일정을 압축한 바 있다.

2023 LCK 스프링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열리며, 10개 팀이 팀별 18경기씩 총 90경기를 치러 순위를 가린다. 이후 3월 22일부터 4월 9일까지 3주간 6강 플레이오프를 치러 우승팀을 결정한다.

대회 총 상금은 3억 7500만원이며, 우승 팀에게는 2억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또한 LCK 우승팀 자격으로 국제 대회 '2023 미드 시즌 인비테이셔널(MSI)'에 출전할 수 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2023 MSI는 유럽에서 열릴 가능성이 높다.

경기 시작 시간 평일 30분, 주말 2시간 당겨져

2023 LCK 스프링은 경기 시작 시간의 변화가 이뤄진다. 수, 목, 금요일에 열리는 평일 1경기는 이전과 같이 오후 5시에 시작하지만, 2경기는 이전 대비 30분 앞당겨진 오후 7시 30분에 시작한다. 또한 주말 경기의 경우 1경기 시작 시간이 2시간 앞당겨진 오후 3시에 열리며, 2경기는 오후 5시 30분으로 예정됐다.

당초 LCK가 열리는 시간의 경우 현장 관람객들이 오후 10시가 넘어 귀가하는 경우가 잦았으며 주말 경기 역시 늦은 시간대에 열려 피로감이 있었다. LCK는 경기 시간을 앞당김으로써 현장 관람객들의 편의를 확보하고, LCK 중계 시청 비율이 높은 서구권 팬들의 편한 시청 환경을 제공할 방침이다.

특별 대진 '새터데이 쇼다운' 편성

또한 정규 리그에 '새터데이 쇼다운(Saturday Showdown)'으로 명명된 토요일 특별 대진이 편성된다. 기존에는 완전 무작위 추첨 방식으로 대진을 구성했지만, 이번 스프링부터는 개막전, 토요일 프라임 타임, 정규 리그 마지막 경기 등 주목도가 높은 시간대에 특별 대진을 확보한다. 특별 대진으로 편성된 경기의 경우 대결하는 두 팀의 이전 스플릿의 순위, 라이벌 구도, 스토브 리그 스토리 라인 등 다양한 요소를 감안했다.

이에 따라 개막전의 경우 담원 기아와 DRX, 젠지와 T1의 빅 매치가 연달아 개최될 예정이다. 또한 1주차 토요일 1경기에는 2022 월드 챔피언십 우승팀 DRX와 2022 서머 스플릿 우승팀 젠지의 역대급 대결이 예고돼 있다. LCK 10개 팀은 모두 최소 한 번은 새터데이 쇼다운의 일환으로 경기를 치르게 된다.

정규 리그를 모두 마치고 열리는 플레이오프 제도에도 변화가 더해진다. 상위 6개 팀이 참가하는 것은 이전과 같지만, 그동안 많은 팬들이 줄기차게 요구했던 더블 엘리미네이션 제도가 LCK 플레이오프에 도입된다.

플레이오프 더블 엘리미네이션 도입

정규 리그 1위와 2위는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직행하며, 3위부터 6위까지 참가하는 PO 1라운드에서 3위는 5, 6위 중에 한 팀을 선정해 경기를 치른다. 4위는 남아있는 팀과 대결하며 승리한 팀은 2라운드에 진출, 패배한 팀은 탈락한다.

플레이오프 2라운드에 나서는 네 팀이 결정된 순간부터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이 적용된다. 정규 리그 1위는 플레이오프 1라운드에서 살아남은 두 팀 가운데 한 팀을 선택해 경기를 치르고, 2위는 남은 팀과 대결한다. 각 대결에서 승리한 팀은 승자전에, 패배한 팀은 패자전에 간다.

승자전 승리팀은 최종 결승전에 진출한다. 패자전에서 승리한 팀은 패자 결승전으로 진출해, 승자전에서 패배한 팀을 상대한다. 패자 결승전에서 승리한 팀은 바로 다음 날에 열리는 최종 결승전에 진출해 우승 트로피를 두고 겨룬다. 플레이오프의 모든 경기는 5전 3선승제로 진행된다.

2023 LCK 스프링 스플릿 플레이오프는 3월 22일 시작한다. 4월 8일 토요일에 패자 결승전이, 다음날인 9일 일요일에 최종 결승전이 열린다.

티켓 가격 인상… 중계에서 트위치 빠져

대회 관람 티켓 예매는 경기일 기준 48시간 전부터 시작된다. 지난해까지 1명이 1장만 구매할 수 있었으나 이번 스프링부터 2매까지 구매할 수 있게 된다. 지인이나 친구와 함께 현장에서 관람할 수 있게 돼 접근성을 높였다.

티켓 가격은 평일 1만 5000원, 주말 2만원으로 전년 대비 각각 5000원, 8000원 상승했다. LCK는 "지난 2019년 책정한 티켓 가격을 4년 동안 유지해 왔으나 이번 스프링부터 물가 상승 등의 요인으로 인상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LCK 경기 티켓 매출액의 일부는 10개 팀에게 배분되며, 남은 금액은 운영비 및 LoL 이스포츠 생태계 발전을 위해 사용된다.

2023 LCK 스프링 스플릿은 네이버와 아프리카TV에서 중계된다. 트위치와 한국어 중계권 계약이 성사되지 않으면서 이번 시즌부터는 트위치에서 LoL 이스포츠 한국어 중계를 볼 수 없다.

[더게임스데일리 이상민 기자 dltkdals@tgdaily.co.kr]



배너



퀵메뉴